메뉴 닫기

정치/경제

경상북도 신도청시대 개막

예천인터넷방송   |   송고 : 2016-03-10 19:37:20

경상북도의 안동.예천 신도청시대가 드디어 개막됐다.

경북도는 10일 오후 3시, 신청사 앞 광장에서 1만여명의 국내외 축하객이 참석한 가운데 역사적인 신도청시대의 서막을 여는 ‘경상북도 신청사 개청식’을 개최했다.

1314년 고려 충숙왕 원년 경상도를 개도한지 702년, 1896년 대한제국 칙령으로 경상북도를 개도한 이래 120년, 1966년 대구시 산격동으로 청사를 이사한지 50년 만에 새로운 터전으로 옮긴 것이다.

지난 1981년 대구시 분리이후 도청 소재지와 관할구역의 불일치에 따른 끊임없는 논란을 해소하기 위한 김관용 도지사의 과감한 결단이 7년간의 피땀 어린 준비기간을 거쳐 마침내 결실을 본 것이다.

이 날 행사는 표지석 제막, 기념식수, 개청식, 축하공연 順으로 진행됐다.

본관동편 화단에 설치된 표지석은 폭 3.3m, 높이 2.7m의 문경産 목화석에 ‘경상북도청’이란 대통령 친필 글씨가 새겨져 많은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고, ‘살아서 천년, 죽어서 천년을 간다.’는 주목을 기념식수목으로 선정, 천년대계의 꿈이 담긴 신도청시대의 의미를 잘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기념식수에 사용된 흙은 전국 16개 시도와 경상북도 23개 시군의 흙을 모은 것으로 국민 대통합과 도민화합의 의미를 담았다.

본 행사인 개청식은 경상북도 신청사 건립의 역사적인 상징성과 미래비전을 담은 ‘경북비전 영상’ 상영과 김관용 도지사의 개청사, 장대진 도의회의장의 환영사, 도립국악단의 축하공연 順으로 이어졌으며, 주요 내빈들이 300만 도민의 희망을 담은 풍선 12,000개를 함께 날리는 희망 퍼포먼스로 피날레를 장식했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도청이전은 도민들의 뜨거운 열망과 결집된 에너지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역사적인 쾌거”라며, “도민 자존회복과 대통합의 전기가 마련된 만큼 오로지 도민들만 바라보면서 새로운 천년을 착실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창조경제와 문화융성, 국민통합과 균형발전에 앞장서면서 한반도 허리 경제권의 중심으로서 새로운 국가발전의 교두보 역할을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도민들은 태극기와 경상북도기를 흔들며 즐거워하면서 역사적인 개청식에 동참하게 된 것을 자랑스러워하기도 했다.  실제로 도민들 사이에서 개청식 초청여부가 화제가 될 정도로 신청사 개청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한 안동시민은 “애국의 본향으로 독립운동의 성지인 안동이 경상북도의 도읍지가 되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고 가슴이 뭉클하다.”면서 “역대 어느 도지사도 해내지 못한 숙원사업을 과감한 결단으로 이루어 낸 김관용 도지사께 감사드린다.”고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으며 대구 산격동에서 왔다고 밝힌 한 시민은 “도청이 떠날 때 너무 섭섭했는데 막상 현장에 와보니 웅장한 건물과 잘 꾸며진 환경이 너무 부럽다”며 “대구경북은 한 뿌리인 만큼 꾸준한 협력을 통해 도청이전을 지역발전의 새로운 계기로 승화시켜야 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 앞서 도청본관 로비에서는 ‘민족문화의 원류 삼국유사, 목판으로 되살아나다’라는 주제의 삼국유사 목판복원사업 과 신라천년의 역사와 문화를 집대성한 신라사대계 편찬사업 진행상황이 함께 전시되어 삼국유사를 탄생시킨 신라문화의 메카로서 문화적 사명을 다하고 있는 경북도의 의지가 관람객들의 찬사를 받았다.

삼국사기와 함께 고대 역사서의 쌍벽을 이루는 삼국유사는 고려 충렬왕 때 일연선사가 군위 인각사에서 저술한 소중한 기록유산으로 목판은 유실되고 8종의 책만 남아있다.

지난 2014년부터 시작된 삼국유사 목판복원사업은 34억원의 예산을 투입, 2017년까지 마무리할 계획으로 현재 조선중기본 112판(5권2책)을 완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민족사의 뿌리이자 한국문화의 원류이면서도 이제까지 체계화된 적이 없었던 신라의 역사와 문화를 신라사대계(新羅史大系)라는 이름으로 종합 정리하는 사업을 지난 2011년부터 136명의 집필진을 투입, 추진해 왔다.

전 30권의 연구총서와 자료집은 물론, 영문, 중문, 일문판 등 외국어 개설서도 함께 출간할 계획으로 현재 원고감수를 마치고 수정, 보완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의 멋과 경북의 얼이 담긴 경북도청 신청사는 건축학을 전공한 ‘탈렙 리파이’유엔세계관광기구 사무총장으로부터‘That’s Korea!(저것이 한국이다)’라는 극찬을 받는 등 전통과 현대를 절묘하게 조화시킨 공공청사의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입소문 덕분에 지난 한 해 동안 누적 관람객 76,262명을 기록했고 올해도 하루 800명 ~ 1000명의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어 이번 개청식을 계기로 경북북부지역의 대표적인 관광명소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하회세계탈박물관 2025년 KB열린박물관 및 길 위의 인문학 사업 나란히 선정

하회세계탈박물관 2025년 KB열린박물관 및 길 위의 인문학 사업 나란히 선정 전 세계 50여 개국의 탈과 탈 문화를 소개하고 있는 하회세계탈박물관(관장 김동표)은 안동 하회마을 인근에 위치한 전문박물관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인 탈춤을 주제로 다양한 ...

예천군노인복지관 2025년 어버이날 기념행사

예천군노인복지관 2025년 어버이날 기념행사 예천군노인복지관(관장 김정표)은 제53회 어버이날을 맞이해 8일 오전, 65세 이상 지역 어르신 400여 명을 모시고 2025년 어버이날 孝사랑 잔치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예천군 유천초와 함께 어버이날 맞이 치매인식개선 행사 운영

예천군 유천초와 함께 어버이날 맞이 치매인식개선 행사 운영 예천군(군수 김학동)은 8일, 어버이날을 맞아 유천초등학교와 함께 유천면 사곡리 치매보듬마을에서 치매인식개선행사를 운영했다. 이번 행사는 어버이날을 기념해 지역 내 어르신들의 건강...

예천박물관 재난 속 국가유산 보호기능 발휘해

예천박물관 재난 속 국가유산 보호기능 발휘해 예천군(군수 김학동) 예천박물관은 지난 3월, 의성 산불의 확산으로 긴급 이관했던 세계문화유산 안동 봉정사 유물을 8일, 원소장처로 안전하게 반환했다고 밝혔다. 지난 3월 25일 ...

뉴스레터

메일링 가입

발송을 위한 이메일주소를 수집하는데 동의하며,
수집된 이메일주소는 구독 취소시 즉시 삭제됩니다.

예천인터넷방송
비디오등록 : N-02-01-2006-9호
부가통신신고 : 경북 제1052호
등록년월일 : 2006년 5월 2일
정기간행물등록 : 경북아 00018호
발행/편집 : 황성한
청소년보호책임자 : 황성한
TEL : 054-654-0682
FAX : 054-652-1264
E-mail : iyctv@hanmail.net
주소 : 경북 예천군 예천읍 충효로 424-23
© 2006. 예천인터넷방송. ALL RIGHTS RESERVED.